이부프로펜과 덱시부프로펜은 모두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제로, 일반적으로 통증, 열, 염증 등의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그러나 이 두 가지 약물은 서로 다른 화학 구조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염진통제를 둘 중에 어떤 약을 쓸 것인지 약의 비교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이부프로펜과 덱시부프로펜의 차이
이부프로펜은 비선택적 COX 억제제입니다. 즉, 어떤 COX도 억제할 수 있습니다. 이 약물은 빠른 흡수와 짧은 반감기로 인해, 즉시 효과가 나타나지만, 효과의 지속시간은 짧습니다. 또한 이부프로펜은 위장관 부작용이 상대적으로 적은 약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반면, 덱시부프로펜은 비선택적 COX-1 및 COX-2 억제제 중에서도 COX-2를 우선적으로 억제합니다. 이것은 덱시부프로펜이 COX-2와 관련된 염증 반응을 억제하면서, COX-1과 관련된 위장관 및 혈소판 기능 등에 덜 영향을 줄 수 있도록 만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덱시부프로펜은 위장관 부작용의 발생 위험이 높은 이부프로펜보다 좀 더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덱시부프로펜은 이부프로펜보다 지속시간이 길어, 효과의 지속시간이 더 길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 이부프로펜과 덱시부프로펜의 사용용도
이부프로펜과 덱시부프로펜은 모두 통증, 열, 염증의 완화를 위해 사용됩니다. 그러나 덱시부프로펜은 특히 편두통, 관절염, 근육통, 월경통 등과 같은 만성적인 통증 치료에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덱시부프로펜은 또한 대부분의 COX-2 억제제처럼 관절염 및 골관절염 등과 같은 류머티즘 질환의 치료에도 사용됩니다.
3. 이부프로펜과 덱시부프로펜의 부작용
이 부류의 항염증제(NSAIDs)는 장기간 복용할 경우 위장관 출혈, 위궤양, 심장마비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작용은 특히 고령자, 위장관 장애가 있는 환자, 혈액 응고 장애가 있는 환자, 심장 질환 및 고혈압 환자 등에서 더욱 발생 가능성이 높습니다. 위장관 출혈 및 위궤양은 주로 위산의 분비를 억제하여 생길 수 있으며, 이는 위산을 분비하는 세포의 활성을 억제하는 항염증 작용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복용 시간을 조절하거나 위산분비 억제제를 함께 복용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다른 치료법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심장 부작용은 주로 체내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프로스타글란딘 (prostaglandin)의 생성을 억제하여 발생합니다. 프로스타글란딘은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낮추고 심장 부하를 줄이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심장 질환 또는 고혈압이 있는 환자에서는 이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 복용 전 의료진과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약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후피임약(응급피임약) vs 일반피임약의 차이점 (0) | 2023.05.07 |
---|---|
약국에는 없는 타이레놀 - 같은 성분의 다른 약을 먹어도 될까? (0) | 2023.05.07 |
경구피임약 - 다 같은 피임약이 아니다(?) 세대별로 분류하는 피임약 (0) | 2023.05.07 |
전립선 건강부터 탈모 치료까지, 용량에 따라 치료 효과가 달라지는 약 Finasteride (0) | 2023.05.07 |
갑상선 항진증 약 methimazole(MMI)과 propylthiouracil(PTU)의 특징 및 차이점 (0) | 2023.05.07 |